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 및 우대금리 비교

by teslam 2023. 12. 14.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의 은행별 금리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만기 5년(60개월) 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을 말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이 5년 동안 목돈을 모을 수 있는 좋은 방법으로 인기가 있는 적금 방식인데요, 은행별로 제공하는 금리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나에게 가장 좋은 금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상품개요 

가입대상 - 만 19세 이상에서 만 34세 이하 청년
- 개인소득 연 7,500만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기준 충족자 
적금 방식 - 월 최대 70만원 이하 자유적립식
가입기간 - 5년
정부지원금 - 개인 소득에 따라 차등 지원 (월 2.1~2.4만원) 
이자지급방식 - 만기일시지급
-1인 1계좌
 

 

은행별 청년도약계좌 금리 비교 (2023.12.14일 기준)

청년도약계좌의 은행별 금리 비교 차트 입니다. 기본 금리는 3년간 고정되며, 이후 2년은 변동 금리가 적용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5년만기 적금 상품) 

 

은행 기본금리
(3년고정, 2년 변동 )
은행별 우대금리
NH농협은행 4.50%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이체 0.50%p,
② 마케팅동의 0.20%p,
③ 카드실적 0.20%p,
④ 가입직전 1년간 농협은행 예적금(청약포함) 미보유 또는 NH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고객 0.10%p

신한은행 4.50%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이체 0.30%p,
② 신한카드(신용/체크) 결제 0.30%p,
③ 첫 거래 우대 0.40%p

우리은행 4.50%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이체 : 1.00%p,
② 예적금 미보유 : 0.50%p,
③ 카드결제(신용/체크) : 0.50%p
* 만기해지 시점까지 적금 자동이체 및 마케팅 동의 유지 필수

하나은행 4.50%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 (가맹점대금) 이체 [36회차 이상] : 0.60%,
② 마케팅동의 : 0.10%,
③ 카드 결제실적 [월10만원이상, 36회차 이상] : 0.20%,
④ 목돈마련응원 : 0.10%

IBK기업은행 4.50%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이체 0.50%p,
② 마케팅동의 0.10%p,
③ 지로/공과금 0.20%p,
④ 카드이용 0.20%p,
⑤ 최초고객 0.30%p

KB국민은행 4.50%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이체 0.60%p,
② 자동이체 0.30%p,
③ 거래감사 0.10%p

DGB대구은행 4.00%
우대금리 최대 1.50%p


① 마케팅동의 0.30%p,
② 주택청약 보유 0.50%p,
③ 대구은행 계좌를 통해 자동이체로 30회 이상 입금 0.70%p

BNK부산은행 주5) 4.00%
우대금리 최대 연1.50%p


① 급여이체 : 0.50%p,
② 카드실적 : 0.50%p,
③ 신규고객 : 0.50%p

광주은행 3.80%
우대금리 최대 1.70%p


① 급여이체 0.50%p,
② 카드사용 우대금리 0.50%p,
③ 첫 거래 우대금리 0.50%p,
④ 만기축하 우대금리 0.20%p

전북은행 3.80%
우대금리 최대 1.70%p


① 급여이체 0.70%p,
② 마케팅 동의 0.20%p,
③ 적금 자동이체 0.30%p,
④ 카드실적 0.50%p

BNK경남은행 주5) 4.00%
우대금리 최대 1.50%p


① 급여이체 0.70%p,
② 주택청약 보유 0.40%p,
③ 최초신규고객 0.40%p

 

 

만일소득이 낮아 여건에 맞는다면 여기에 추가로 이자를 지원하기도 합니다. 

 

신청 시점 및 가입 후에 1년을 주기로 심사하여 개인소득금의 소득요건이 맞으면 여기에 추가로 우대금리를 적용해주고 있어요.  총 급여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1,600만 원 이하, 연말정산 사업소득 1,600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추가 이자 지원 혜택도 있으니 이 부분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소득요건 충족횟수 5회 4회 3회 2회 1회 0회
소득+우대금리 소득+우대금리
전체 지급%
소득+우대금리
X 80% 지급
소득+우대금리
X 60% 지급
소득+우대금리
X 40%지급
소득+우대금리
X 20%지급
미지급

 

우대금리 항목은 은행마다 다를 수 있어서 적용 가능 여부는 은행별 홈페이지나, 어플 등을 통해 추가적으로 확인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로 적금을 하는 상태에서 돈이 필요하면 담보로 적금담보대출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 경우 비대면 대출을 이용하면 최대 1.25%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하니 이 부분도 필요하신 경우 은행에 적극 문의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청년도약계좌의 은행별 금리 차이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각 은행 뱅킹 앱 및 지점에서 쉽게 가입할 수 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주거래 은행에 문의해 보세요! 

 

반응형